1.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 이란?
- 데이터베이스, 테이블, 인덱스, 뷰 등을 생성, 수정, 삭제하는 데 사용
- DDL 명령은 자동으로 커밋됨(작업 완료 후 롤백 불가).
2. 주요 DDL 명령어
- CREATE :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
> CREATE DATABASE DB명;
> CREATE TABLE 테이블명;
> CREATE INDEX 인덱스명 ON 테이블명( 컬럼명 );
- ALTER: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객체 수정
> 추가 :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컬럼명 데이터타입;
> 수정 :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데이터타입;
> 삭제 :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LUMN 컬럼명;
> 테이블명 수정 : ALTER TABLE 테이블명 RENAME TO 새로운테이블명;
- DROP: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
> DROP DATABASE DB명;
> DROP TABLE 테이블명;
- TRUNCATE: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, 테이블 구조는 그대로 유지
> TRUNCATE TABLE 테이블명;
- RENAME: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이름을 변경
> RENAME TABLE 테이블명 TO 새로운테이블명;
3.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 이란?
- 데이터 자체를 조작
- 데이터를 삽입, 조회, 업데이트 및 삭제하는 작업을 수행
- DML 명령어는 트랜잭션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, COMMIT 또는 ROLLBACK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 사항을 확정하거나 취소 할 수 있다.
4. 주요 DML 명령어
- INSERT : 데이터를 테이블에 삽입
> INSERT INTO users (username, email) VALUES ('kim', 'kim@abc.com');
- SELECT : 테이블에서 데이터 조회
> SELECT username, email FROM users WHERE id = 332;
- UPDATE : 테이블의 기존 데이터 수정
> UPDATE users SET email = ' kim22@abc.com ' WHERE username = 'kim';
- DELETE : 테이블에서 데이터 삭제
> DELETE FROM users WHERE username = 'kim';
'DB > 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ySQL] 테이블 조인 (0) | 2024.06.21 |
---|---|
[MySQL] 데이터 그룹화(묶기) (0) | 2024.06.20 |
[MySQL] 데이터 조회 (0) | 2024.06.20 |
[MySQL]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 (0) | 2024.06.20 |
[MySQL] MySQL 이란? (0) | 2024.06.20 |